top of page

내가 혹시 불안장애일까요?

불안장애

불안장애는 그 범위가 아주 넓습니다. 

크게 나누면  범불안장애와 사회공포증으로 나눌 수 있어요.

그리고 공황장애나 분리불안, 질병 불안장애,

강박장애, 선택적 함구증과도 관련이 있죠.  

불안감 자체가 심해서 내가 불안장애다,

라고 확실히 느끼는 분들도 있지만

 

이런 증상을  

불안장애라고 하는지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는 걱정이 엄청 많아요. 

횡단보도에 가만히 서 있다가도

차가 넘어와서 나를 치면 어떻게 하지? 

라는 생각이 들고,

갑자기 어느 날 옆구리가 뜨끔하고

숨을 쉬기 힘들 만큼 아프더라구요. 

그래서 인터넷으로 이것저것 찾아보고

병원에 가서 검사도 받아봤어요. 

제 생각에는 간에 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

간기능검사 해보고 초음파도 해봐도

딱히 간에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구요.

혼자서 어떤 행동을 하거나

걱정이 많아서 불안한 것도 불안장애이고,

다른 사람이 나를 보고 어떤 생각을 할지가

걱정되고 불안한 것도 불안장애입니다.

그리고 내 몸에 이상이 있는 것 같아서

병원에 자주 가고,

 

검사를 하고 아무 이상이 없어도

​내 몸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서

몸이 아플까 걱정하는 것도 불안장애죠.

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이 뭘까요?

범불안장애 DSM-V 진단기준

 

1. 직장이나 학업과 같은 수많은 일상 활동에 있어서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걱정을 하고,

그 기간이 최소한 6개월 이상으로 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 날이 더 많아야 한다.

 

2. 이런 걱정을 조절하기 어렵다고 느낀다.

(즉 개인인 걱정에 대해 통제하기 어렵다고 인식해야 범불안 장애로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많은 걱정을 하더라도 개인이 스스로 잘 통제할 수 있다고 하면 범불안장애의 증상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3. 불안과 걱정은 다음 6가지 증상 중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증상과 관련이 있다.

(지난 6개월 동안 적어도 몇 가지 증상이 있는 날이 없는 날보다 더 많다.)

*아동에게는 한 가지 증상만 만족해도 된다.

 

a. 안절부절못하거나 낭떠러지 끝에 서 있는 느낌.

b. 쉽게 피곤해진다.

c. 집중하기 힘들거나 머릿속이 하얗게 된다.

d. 과민성

e. 근육의 긴장

f. 수면 교란(잠들기 어렵거나 유지가 어렵거나 밤새 뒤척이면서 불만족스러운 수면 상태)

 

4. 불안이나 걱정, 혹은 신체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5. 장애가 물질(예,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 기능 항진증)로 인한 것이 아니다.

 

6.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예, 공황장애에서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것, 사회불안장애에서 부정적 평가, 강박장애에서 오염이나 다른 강박사고, 분리불안장애에서 애착 대상과의 분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서 외상 사건을 상기 시키는 것. 신경성 식욕부진증에서 체중 증가, 신체증상장애에서 신체적 불편, 신체이형장애에서 지각된 신체적 결점, 질병불안장애에서 심각한 질병, 조현병이나 망상장애의 망상적 믿음의 내용에 대해 불안해하거나 걱정하는 것)

사회불안장애 DSM-V 진단기준

1. 타인에 의해 면밀하게 관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하거나 불안해한다.

그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회적 관계(예, 대화를 하거나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

관찰되는 것(예, 음식을 먹거나 마시는 것),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일을 하는 것(예, 연설)을 들 수 있다.

*아동의 경우 공포와 불안은 성인과의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또래 집단에서도 발생해야 한다.

 

2.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방향(수치스럽거나 당황, 다른 사람을 거부하거나 공격)으로 행동하거나 불안 증상을 보일까 봐 두려워한다.

 

3. 이러한 사회적 상황이 거의 항상 공포나 불안을 일으킨다.

*아동의 경우 공포와 불안은 울음, 분노발작, 얼어붙음, 매달리기, 움츠러듦 혹은 사회적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4. 이러한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거나 극심한 공포와 불안 속에 견딘다.

 

5. 이러한 불안과 공포는 실제 사회상황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볼 때 실제 위험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극심하다.

 

6. 공포, 불안, 회피는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7. 공포, 불안, 회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8. 공포, 불안, 회피는 물질(예,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9. 공포, 불안, 회피는 공황장애, 신체이형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10. 만약 다른 의학적 상태(예, 파킨슨병, 비만, 화상이나 손상에 의한 신체 훼손)가 있다면 공포, 불안, 회피는 이와 무관하거나 혹은 지나칠 정도다.

그럼 불안장애는 왜 나타날까요?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불안합니다.

출산의 과정을 겪으면서부터 극도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죠.

익숙한 자궁에서부터 산모와 분리되어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해야만 하면서 불안감이 필연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성장 과정에서,

사춘기 시절 또래 집단에서,

사회에 나와 집단에 소속되면서

불안감을 항상 마주하죠.

 

불안은 생존과 연결됩니다.

 

그리고 이런 불안감을 다루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죠.

 

하지만 아무도 그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름대로의 대응방식과 생활방식으로 불안을 조절하는데,

이 방법이 부족하거나 적절하지 않아서 불안할 수 있습니다.

 

뇌에는 불안과 공포를 담당하는 편도체가 있습니다.

그리고 큰 사건을 마주하거나 생존에 위협을 겪으면

이 편도체가 활성화되어 불안함을 느낍니다.

그런데 그러지 않아야 할 때 편도체가 켜지면

항상 이유 없이 불안하고 무섭고 걱정이 많아집니다.

불안장애 환자에게 보이는 편도체의 과활성화 논문

불안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대표적인 신체 증상

근골격계통증, 과민성대장증후군, 안면홍조,

심장두근거림, 두통, 어지럼증, 가슴답답함, 불면증

 

여러 증상이 불안장애와 동반됩니다.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문진표 작성 - 뇌기능검사 - 자율신경계 검사 - 상담 - 맥진, 복진의 과정으로 검사합니다.

치료방법

침과 약침으로 편도체와 자율신경계를 회복하고

자침치료로 편도체의 기능 정상화 효과 논문

한약으로 뇌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변연계와 편도체의 기능을 회복합니다.

가미온담탕으로 범불안장애 치험례 논문

화병에서 불안에 대한 시호가용골모려의 효과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