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내가 혹시 우울증일까요?

우울증

내가 혹시 우울증일까요?

 

우울증은 알아차리기 힘든 병입니다.

뇌기능이 저하되면 인지능력도 떨어지게 되죠.

인지능력은 판단하는 능력입니다.

나한테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건강이 좋은지 나쁜지를 아는 능력이죠.

우울증이 있는데도 나에게 아무 문제가 없다고 느끼는 환자분들도 꽤 많습니다.

원래 체력이 약하고 무기력하고

일을 자주 미뤄요.

재미난 일도 없고, 그런데 항상 걱정이 많고 그런 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요.

그러면서 소화도 안 되고 잠도 잘 못 자고 자다가 자주 깹니다.

이런 것 때문에 우울해요.

별다른 증상은 없는데, 스트레스 받으면 자꾸 죽는 생각을 해요.

죽고 싶다는 아닌데,

그냥 죽으면 편하겠다거나,

죽음에 대한 생각을 습관처럼 해요.

 

일을 하려고 해도 집중이 잘 안되고

조금만 잘못해도

내가 그렇지 뭐 하고 자책하곤 합니다.

그러다보니 별로 재밌는것도 없고,

기분 좋은 것도 모르고 살고 있어요.

 

이런 분들도 우울증일 수 있어요.

심각하게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딱히 우울감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죠.

무기력증, 우울증도

치료하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혼자 힘들어하지 마시고, 도움을 받아보세요.

우울증의 진단기준이 뭘까요?

주요 우울장애 DSM-V 진단기준

 

1,2번을 포함한 5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주요 우울장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지속적으로 우울하다.공허하거나 슬플 수도 있습니다.

2. 재미난 일이 없다. 나는 괜찮은 것 같아도,

   주변에서 볼 때도 그러면 해당됩니다.

3. 죽음에 관한 생각이 계속 든다.

   구체적인 계획이 있든 없든 자살 생각이 계속됩니다.

4. 기운이 없거나 피곤하다.

5. 잠이 너무 많이 오거나, 오지 않는다.

6. 살이 찌거나 빠지거나, 식욕이 감소하거나 증가.

   다이어트 없이

   한달에 몸무게의 5%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입니다.

​7. 판단력이 떨어지거나 집중력이 흐려진다.

   나는 괜찮은 것 같아도,

   주변에서 볼 때도 그러면 해당됩니다.

8. 생각과 행동, 감정이 쉽게 흥분되거나 둔해진다.

   너무 둔해서 멍해지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경우.

9. 나는 쓸모없는 존재 라는 느낌이 들거나 죄책감,​

   더 나아가서 망상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기준에 해당되는 환자의 증상을 듣고,

전문가의 진찰 후에 우울증인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럼 우울증은 왜 나타날까요?

우울증이 발생하는원인은 수도 없이 많고

사람마다 다릅니다.

우울감을 지속적으로 느끼게 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큰 충격을 받거나

스트레스로 우울할 수도 있죠.

영양이 부족해서 혹은 만성 탈수로

우울증이 오기도 합니다.

우울증을 나타나게 하는 유전자도 있습니다.

나는 아무 일도 없는 것 같은데,

그냥 이유없이 우울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렇게 우울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 다르지만

공통적인 부분은

뇌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다는 것이죠. 

우울증 환자에게서 보이는 대뇌피질 기능저하 논문

여러 가지 원인이 몸에 영향을 미치고,

뇌 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하면

감정조절이 안되면서 신체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우울증이 발생합니다.

우울증과 함께 나타나는 대표적인 신체증상

불면증(수면유지장애, 입면장애, 조기각성),

과수면, 소화불량(식욕저하, 식욕조절x),

두통, 어지러움, 변비, 설사, 수족냉증,

가슴답답함, 목, 명치, 가슴 이물감,

심장두근거림, 가슴통증 등 여러 증상이

​우울증과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문진표 작성 - 스트레스 검사 - 자율신경계 검사 - 상담 - 맥진, 복진의 과정으로 검사합니다.

치료방법

침과 약침, 그리고 한약으로 신체 증상을 치료하고, 뇌의 기능을 회복합니다.

자율신경계를 건강하게 하고 뇌의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을 조절합니다.

가미소요산이 해마신경 기능회복으로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는 논문

인지행동 요법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기릅니다.

그리고 일상 생활에서 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 재발하지 않게 예방합니다.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본질적인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합니다.

정신과약은 어떻게 하나요?

우울증에 많이 처방하는 SSRI는 세로토닌을 조절하는 약입니다.

최근 미국의 연구논문에서 세로토닌과 우울증은 아무 관계가 없다고 밝혀졌습니다.

세로토닌 대사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는 네이쳐지의 SCI논문

정신과약은 한 가지 신경전달물질을 보충하거나 차단하는 식으로 효과를 냅니다.

결과적으로 증상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되기는 힘들 수 있죠.

반면에 한약은 복합 구성물로, 뇌 기능을 전반적으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한약의 효과_1.png

그래서 치료 도중에는 정신과약을 함께 복용하지만

최종적으로 정신과약을 줄이거나 끊고도 증상이 없이,

뇌기능이 회복되어 우울증이 재발하지 않고

정상적인 생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진료문의 / 예약

주소 Address

서울 종로구 삼봉로 95 대성스카이렉스 3층 안녕한의원

전화.png
카카오톡.png
네이버톡톡.png

연락처 Contact

02-722-0525

진료시간 Opening Hours

월 화 목 금

10:00 am – 20:00 pm

-점심시간 14:00pm - 15:00pm

​수

10:00 am – 14:00 pm

10:00 am – 14:00 pm

일요일 공휴일

​휴진

bottom of page